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사회사업

팀의 비젼을 잡아라

by 사회사업가, 현환 2010. 3. 18.

팀의 비젼을 잡는 회의를 하고 있습니다.

사례관리 팀으로써 궁극적으로 도모하고자 하는 바를 세우는 일입니다.

 

이제는 불평, 불만 하기보다는

살려 쓸 수 있는 것을 찾고, 긍정적인 효과가 무엇인지 고민해야 겠습니다.

 


 

사례관리를 한다고 해서 사람을 관리해서는 안됩니다. 

사례관리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단, 대상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대상자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제공된 서비스의 질은 어떠한지

제공된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

제공된 서비스로 인해서 대상자의 삶은 변화가 되었는지를 관리한다는 것입니다. 

 

대상자의 삶의 변화를 관리한다는 측면도 

대상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서비스를 조정, 개편, 향상, 변경한다는 뜻입니다.

 

사례관리를 관점으로 보고자 하는 시도를 했습니다. (임재운 사회사업가)

사례관리의 정의에서 나와있듯이 '대상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개편하는 것입니다.

결국은 서비스 중심에서 탈피하여 대상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것입니다.

 

사회사업이 어디서 출발하였나 생각해 봅니다.

결국은 사회적 약자(경제, 의료, 교육 등으로부터 소외된 사람)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 그들의 소리를 듣는 것입니다.

그들에게 묻고, 의논하고, 부탁합니다.

필요한 경우 제공가능한 서비스를 나열하고, 그것을 설명하며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그 이웃이 이웃을 도울 수 있도록

여쭙고, 의논하고, 부탁하고, 감사하는 것이 더 귀합니다.

 

 

팀의 비젼을 생각합니다 .

[사례관리]라는 방법을 통해서 우리는 무엇을 이루어야 할까요?

어떻게 하면 사람을 사람답게 살고, 사회를 사회답게 만들 수 있을까요?

 

그 당사자에게 집중해야 합니다.

당사자의 삶이 되도록 해야합니다.

몇 몇 전문가들에 의해 당사자의 삶이 휘둘리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지역사회가 이웃을 도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거들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당사자의 삶에서 자주성 찾고, 지역사회에서 공생성을 기르자'

지역주민이라 하지 않고, 당사자라 함은 우리가 개입하고자 하는 대상자가

특정 사회적 약자이며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하면 당사자의 삶에서 자주성을 찾을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지역사회의 공생성을 기를 수 있을까요?

그것도 사례관리의 틀 안에서..

 

사례관리팀에 소속된 사회사업가는 다양한 구성체계와 일하는데 

이중 당사자 체계와 지역사회 체계를 중심으로 일해야 합니다.

 

때로는 몇 몇 전문가의 적절한 도움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당사자의 의견과 실천이 더 중요합니다.

지역사회가 돕과 나누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핵심은 당사자와 지역사회(가족,이웃,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에 있습니다.

몇 몇 전문가 체계(사람)는 다양한 서비스체계를 구분하여 제공하기 쉽도록 해야 합니다.

 

당사자가 자신이 처한 다양한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지합니다.

강점을 찾아서 알려 드리고, 그것을 살려쓸수 있는 방법을 함께 궁리합니다.

당사자의 역량을 강화 시키고, 그 자주성을 찾습니다. 회복시킵니다.

 - 당사자가 사례회의(문제해결과정)에 참석합니다. 주도합니다.

 - 서비스는 당사자가 결정하도록 지원합니다.

 - 사례관리팀은 당사자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안내하거나 연결합니다.

 

지역사회에 당사자가 처한 어려움을 알려드리고 함께 도울 수 있는 사람을 찾습니다. 도울 때 특별한 시간과 물질을 들이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늘 하던 일에서 조금 더 신경써서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당사자와 관계맺을 때 어려운 점이 있는지 점검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의논합니다. 부탁합니다. 그리고 거들어 들입니다.

 

지역사회의 공생성을 회복시킵니다.

 - 지역사회에 나눔문화를 소개한다.

 -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루트를 제공한다.

 - 부담스럽지 않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의논하고, 활동방안을 간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