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방학 사회복지현장실습 진행안
2013년 겨울방학 사회복지현장실습 진행안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실습생의 사회사업 원칙
실습생도 복지관의 비전과 미션에 맞춰서 실천합니다.
비전과 미션을 공부하고 숙지합니다.
중간 중간 비전과 미션을 숙지하고 있는지 점검합니다.
실습생이 진행하는 활동은 실습생이 주체가 됩니다.
개인의 실습일정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계획, 준비, 진행, 평가하는 과정을
실습생이 주도적으로 진행합니다. 현장 실무자는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습생도 현장사회사업가입니다. 권한을 부여하고 책임을 갖습니다.
선택, 진행, 결재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평가할 때 책임을 묻습니다.
실습생은 복지관에서 진행하던 기존의 사회사업 활동을 이어서 진행합니다.
새로운 것을 더하거나 만들지 않습니다.
복지관에서 진행하던 사회사업을 충실히 수행, 보완, 발전시킵니다.
#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실습진행 내용
공통과업
사업팀별로 1시간 내외의 교육을 듣습니다.
사업팀별 교육을 통해 복지관 사회사업의 대략적인 밑그림을 그립니다.
한 달 동안 진행되는 실습은 이로 족합니다.
1주차에 진행되고 교육시간은 별도 공지합니다.
관장님, 사무국장님 개별 면담을 듣습니다.
선배 사회사업가에게 듣는 조언과 격려가 실습과 사회사업 인생에 큰 도움이 됩니다.
실습 첫째 날에 하고 시간은 별도 공지합니다.
실습 둘째, 셋째 날에 실무자가 실습생과 인사 다닙니다.
이는 현장 실무자도 동네에 인사 다닐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실습생도 지역을 알아가는 좋은 기회이며,
선배 사회사업가의 본을 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상황에 따라 실무자와 시간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 현장방문을 위한 일정을 실습생 전원이 모여 의논하고 결정합니다.
사회복지 현장방문은 1일로 계획하고 복지관에서는 음료를 지원합니다.
그 외 이동과 식사는 본인이 해결합니다.
상황에 따라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실무자가 동행할 수 있습니다.
중간평가와 종결평가를 기획하고 준비합니다. 장소와 시간을 결정합니다.
복지관 실무 선생님들이 참석할 수 있도록 실무 선생님들의 일정을 고려합니다.
실습평가 방법은 기관의 평가 방법을 따릅니다. (정합성평가, 실리평가, 감사평가)
팀별 과업
지역조직팀은 2013년 동계 숭의청소년자원봉사학교를 담당하여 진행합니다.
지역조직팀 일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사례관리팀은 식사공동체 활동과 생신잔치 활동을 담당하여 진행합니다.
사례관리팀 사업일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팀 단위로 계획한 프로그램 한 가지 이상 진행할 수 있습니다.
팀 회의에 참석합니다. 각 팀마다 일주일에 1회 팀 회의를 진행합니다.
회의 준비를 위해 안건사항과 업무보고 사항을 정리합니다.
팀 선택
실습생은 지역조직팀과 사례관리팀으로 구분합니다.
3명은 지역조직팀에서 활동하고 3명은 사례관리팀에서 활동합니다.
활동 팀 선택은 오리엔테이션 이후에 실습생 간에 의논하여 결정합니다.
실습계획 세우기
공통과정에 대한 실습계획은 기관의 진행일정표에 따라 진행됩니다.
팀별 구분 후에는 실습일정표를 실습생이 계획합니다.
(지역조직팀은 세부사업계획에 따라 실습계획을 작성합니다.)
팀별 학습이 마치고 나면 2주~5주까지의 실습계획을 시간단위로 계획합니다.
계획표는 팀 단위로 계획합니다. 팀 단위의 일정은 팀원이 모두 숙지합니다.
팀별 계획 안에서 자신의 업무과업에 따라 세부계획이 조정됩니다.
개인별 세부계획표는 본인만 숙지하면 됩니다.
2013년 1월 7일(월) 12:00 이전에 게시판에 올립니다.
팀별 계획서는 복지관 웹페이지 실습게시판에 올리고
언제 어디서든 열람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한글문서 첨부는 기본이고, 게시판에서 바로 볼 수 있도록 합니다.)
계획관리 담당을 정해서 계획이 조정되었다면
웹페이지에 곧바로 업데이트 합니다. (한글 문서 포함)
복지관 공통 업무 참석
매주 월요일 직원회의에 참석합니다.
회의실에서 진행되며 실습생은 회의 준비를 위해 의자를 추가로 가져다 둡니다.
매주 화요일 직원예배에 참석합니다.
예배 시작 전에 성경을 준비합니다.
예배 준비를 위해 의자를 추가로 가져다 둡니다.
매주 금요일 5시부터 6시까지 복지관 대청소를 함께 합니다.
복지관 청소는 전 직원이 참석하는 과업입니다.
청소하기 전에 청소구역을 확인하고 청소도구를 확인합니다.
청소담당을 정해 실습생의 청소구역을 안내합니다.
과제. 실습 진행 전에 과업이 있습니다.
지역조직팀은 청소년자원봉사학교 세부 계획안을 작성합니다.
관련된 정보와 지침은 자원봉사담당 실무자가 팀 선별 이후에 안내합니다.
사례관리팀은 ‘복지요결 응용편’ 중 사례관리론을 읽고 옵니다.
복지요결 응용편은 사회복지정보원 홈페이지에서 한글문서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사회복지정보원 웹페이지. http://www.welfare.or.kr
*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웹페이지 자료실 게시판. http://cafe.daum.net/secwc/ZtaM/33
실습 중 집에 가서 하는 과제는 실습일지 기록만 있습니다.
다른 과제는 일과 중에 업무로 처리할 수 있도록 계획합니다.
학교에서 요청하는 과제는 개인별로 진행하십시오.
기관의 정보를 요청할 경우 제공합니다.
대부분은 웹페이지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기록
실습생 게시판에 실습일지를 기록 합니다.
실습일지 기록방식은 틀을 제공합니다.
실습일지의 슈퍼비전은 게시물의 댓글로 합니다.
실습생은 학교에 실습일지 제출 시 댓글을 복사하여 슈퍼비전 칸에 붙여넣기 합니다.
복지관 웹페이지 기록하는 방법을 숙지합니다.
[게시판 글 올리는 요령] 게시물을 참고합니다.
*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웹페이지 사회복지실습 게시판. http://cafe.daum.net/secwc/e0wn/277
활동을 할 때마다 사진자료를 남깁니다.
웹페이지에 게시할 때는 글을 먼저 작성하고 사진은 뒷부분에 삽입합니다.
그래야 한글로 옮길 때 편합니다.
기록을 할 때 하루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합니다.
기관의 비전과 미션을 떠올리고 오늘 하루 목표를 생각하며 작성하십시오.
글 쓰는 연습의 기회가 됩니다.
오늘 일정 중에 자신에게 의미 있었던 일, 즐거웠던 일,
새로이 알게 되거나 배우게 된 일(정보), 고마웠던 일 등을 기록합니다.
복지산책
1일 1회 2인 이상과 짝지어 동네에 인사 다닙니다.
정해진 시간은 없으나 동료들과 상의하여 매일 진행합니다.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다닙니다. 자주 가야할 곳은 선별하여 종종 찾아뵙습니다.
복지요결 공부
일주일에 3~4회 복지요결을 공부합니다.
복지요결에서 말하는 사회사업의 핵심원소, 개념, 가치와 윤리, 이상, 철학, 사회사업가의 정체성, 주안점, 방법을 배웁니다. 복지요결로써 사회사업하지 않더라도 이를 보고 나름대로의 논리를 정리합니다.
실습자료집 정리
실습자료집을 실습생이 개인별로 만듭니다. 이로써 제출 과제를 대신합니다.
실습자료집에는 실습생 개개인의
실습목적과 목표, 실습일지, 중간평가서, 종결평가서를 포함해서 제작합니다.
실습자료집은 제본하며 제본 표지 양식은 기관의 양식을 따릅니다.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실습 게시판. http://cafe.daum.net/secwc/e0wn/144
실습자료집은 종결평가 때에 1부 제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