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사업/사회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도 공부가 되어야 합니다.

사회사업가, 현환 2013. 3. 3. 22:55


사업계획서 작성이 사회사업가 자신에게도 유익해야 합니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읽은 논문과 책들이 사회사업하면서 유익한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고난스럽게 여기기 보다는 내가 하는 일을 튼튼히 하는 기반이라 생각해야 합니다.


중간관리자는 이를 도와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동료들이 사업계획서가 공부가 될지 궁리하고 도와야 합니다. 

그래야 그 동료들이 하는 사회사업도 발전이 있을 겁니다. 

그저 이론적 배경 한 줄 넣는 것으로 만족하기 보다는 

이를 통해서 동료들이 성장하길 바라야 합니다. 


이를 위해 중간관리자도 공부해야겠지요. 

그저 싸인하라고 앉힌 자리는 아닐 겁니다. 


지역사회의 문제를 검토하고 새로운 사업이나 기존 사업의 개선을 검토하는 

활동 자체가 중요한 학습의 과정입니다. 

이는 사업 담당 사회사업가의 전문성 향상에 밑거름이 될 겁니다.1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론(2005), 정무성, 학현사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