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의 핵심 정체성, 핵심 사명을 명료하게 설정하고, 그것에 부합하는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되 핵심적인 방법론으로써 하고, 나머지는 아웃소싱과 제휴를 통해 해결하자. 그런데 복지관의 핵심 정체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복지관의 핵심 방법론인가.
여기에서는 복지관의 핵심 정체성과 방법론을 찿기 위해 이론적 혹은 이념적, 규범적 차원에서 몇가지 질문을 하겠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질문에 대한 저의 선택, 저의 주장을 밝히고 나아가 그것을 현실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사례또는 가상 시나리오로써 설명하겠습니다.
지금 복지관들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이나 방법론을 부정하려 함도 아니요 그것의 옳고 그름을 판정하거나 비판하려는 것도 아닙니다. 나름대로 우리 사회복지실천 방법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바를 밝히고자 할 따름입니다.
최선의 서비스, 최선의 방법은 사람에 따라 다르고 상황에 따라 다르고, 때와 장소, 문제와 욕구, 처지와 여건에 따라 다르므로 다원화된 서비스, 다양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복지관도 그 종류가 다양하고 처한 상황이 각기 다르므로 기본적으로는 다원주의, 절충주의, context-sensitive eclectic approach의 관점에서 융통성있게 취사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하되, 자연주의 복지이념에 맞추어 복지관의 핵심 방법론을 제안하겠습니다.
복지관의 핵심방법론을 찾기 위한 질문 일곱가지
1. 귀 기관의 실천 이념과 비전은 무엇입니까
①복지시설속에 복지를 집어넣고 전문가들이 직접 하기
②세상속에 복지를 풀어내고 생활속에 복지를 녹여내기
2. 귀 기관의 핵심 정체성, 핵심 사명은 무엇입니까
① Front end welfare center
② Back end enabling center
3. 어떤 영역에 주된 관심을 갖고 있습니까
①클라이언트
②환경
③양 체계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
4. 서비스를 주도하거나 통제하는 쪽은 누구입니까
①기관이 주도하는 전달 모델
②클라이언트 체계가 주도하는 획득 모델
5. 귀 기관의 조직과 사업은 얼마나 유연하고 단순합니까
①모든 사업을 직접 관장하는 직영 모델, 정규직 중심의 인력운용
② 아웃소싱을 최대한 활용하는 위탁 병행 모델, 가상조직형 인력운용
6. 어떤 근무방식을 택하고 있습니까
①기관 중심, 획일적인 출퇴근
②현지완결형, 가변적인 출퇴근
7. 귀 기관(건물)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①복지관 운영법인과 직원들
②지역주민
첨부파일(복지요결 6차 순례판)에서
위 일곱 가지 질문을 자세히 다루고, 답도 상술했습니다.
이런 질문, 이런 논리, 이런 사유, 이런 과정을 통해 복지관 사회사업론을 세웠나 봅니다.
'사회사업 > 사회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인사와 나눔 캠페인 - 용현시장 캠페인 기록 (0) | 2012.10.02 |
---|---|
팀 연수 준비 (0) | 2012.09.24 |
복지요결 1독 모임 3회 (0) | 2012.09.21 |
새로운 사업보고 감탄하기 보다는.. (0) | 2012.09.14 |
[스크랩] 인사와 나눔 in 숭의 2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