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의 다양한 과정이 있습니다.
참고 : 등촌4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의 실제]
단계 1. 관여
- 인테이크 / 동의서 작성
- 클라이언트 수락 / 거부
- 신뢰감 형성
- 역할 명료화
- 기대에 대한 협상
단계 2. C't 및 가족 사정
- 사례고나리 사정틀과 필요 시 가계도, 생태도 , 사회망 그리드 외 임상척도의 사용을 통한 개인과 가족에 대한 사정
- 제시된 욕구와 합의된 욕구의 개발
- 원인론과 치료론의 적용
- 개인, 자고의 자원이용 장애물 찾기,: 외부장애, 선천적 무능력, 내부장애
단계 3. 자원사정
- 클라이언트와 가족이 반드시 포함된 전체 수준의 자원사정
- 욕구 / 자우너의 균형 사정
- 장애물사정 등
단계 4. 계획
- 서비스협상단계 : 사정에 대한 요약 → 변화목적 수립 → 우선순위 정하기 → 과제 및 책임소재 명시 → 결과적 변화의 구체적
- 계획단계 : 목표의 명료화 → 목표의 구체화 → 행동계획 수립
단계 5. 개입
- 사정과 계획에 근거한 내부자원 개발
- 클라이언트와 자원 연결
- 장애물 극복
- 타협과 옹호
단계 6. 조정
- 원조노력의 조직화,
- 공동목표에 대한 동의 획득
- 점검
- 원조노력의 지지
단계7. 분리
- 단계 및 주 내용
= 결과평가
= 분리표시 확인
= 분리연계
= 지속되는 책임소재에 대한 동의
'사회사업 > 사회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팀은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0) | 2010.02.09 |
---|---|
대상자는 어디까지 선정할 것인가? (0) | 2010.02.05 |
사례관리를 하는 이유 (0) | 2010.02.03 |
양원석 선생님의 블로그에 꼬리말 달기.. (0) | 2009.07.18 |
국민연금에서 국통 주셨습니다. (0) | 200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