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사회사업

사례관리의 과정은

by 사회사업가, 현환 2010. 2. 3.

사례관리의 다양한 과정이 있습니다.

 


 

참고 : 등촌4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의 실제]

 

단계 1. 관여

 - 인테이크 / 동의서 작성

 - 클라이언트 수락 / 거부

 - 신뢰감 형성

 - 역할 명료화

 - 기대에 대한 협상

 

단계 2. C't 및 가족 사정

 - 사례고나리 사정틀과 필요 시 가계도, 생태도 , 사회망 그리드 외 임상척도의 사용을 통한 개인과 가족에 대한 사정

 - 제시된 욕구와 합의된 욕구의 개발

 - 원인론과 치료론의 적용

 - 개인, 자고의 자원이용 장애물 찾기,: 외부장애, 선천적 무능력, 내부장애

 

단계 3. 자원사정

 - 클라이언트와 가족이 반드시 포함된 전체 수준의 자원사정

 - 욕구 / 자우너의 균형 사정

 - 장애물사정 등

 

단계 4. 계획

 - 서비스협상단계 : 사정에 대한 요약 → 변화목적 수립 → 우선순위 정하기 → 과제 및 책임소재 명시 → 결과적 변화의 구체적

 - 계획단계 : 목표의 명료화 → 목표의 구체화 → 행동계획 수립

 

단계 5. 개입

 - 사정과 계획에 근거한 내부자원 개발

 - 클라이언트와 자원 연결

 - 장애물 극복

 - 타협과 옹호

 

단계 6. 조정

 - 원조노력의 조직화,

 - 공동목표에 대한 동의 획득

 - 점검

 - 원조노력의 지지

 

단계7. 분리

 - 단계 및 주 내용

  = 결과평가

  = 분리표시 확인

  = 분리연계

  = 지속되는 책임소재에 대한 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