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자는 어디까지 선정할 것인가?
결연후원금 받는 사람을 먼저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람들..
누구와 함께 나가면 좋을까요?
- 사례관리팀만 나가면 좋을까요?
- 서비스연계지원팀과 함께 나가면 좋을까요?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
집중사례관리 선정
- 전임자가 인수인계상 우선적으로 고려되여야 할 가정이라고 꼽은 집..
우리는 어디까지 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는가?
우리의 선정기준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선정기준을 정하지 않고 대상자를 만나는 것이 좋을까?
선정기준을 정한다면 무엇은 근거로 정할 것인가?
사회체계의 부족? 나이? 경제적인 어려움?
관계망의 부족을 다룰 것인가?
오히려 역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이야기하면서
우리가 어디까지 도울 수 있는지 한계선을 긋는 것이 한가지의 방법이 될 수 있을까?
우리는 사회적 관계망이 부족한 사람을 도와야 합니다.
다양한 사회체계를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사라면 임상상담을 통한 자원연결보다는 관계망의 확장에 중심을 두어야 합니다.
서비스 제공은 차후로 미루고, 그 사람의 관계망을 어떻게 연결하고, 확장해야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서비스 제공은 차선책입니다.
서비스 이외에는 어쩔 수 없을 때 이것을 제공해야 합니다.
관계망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을 사례관리 대상자의 1순위로 잡기
- 해결우선순의 : 관계망 만들기. 엮어주기
- 해결차선순위 : 필요한 서비스 제공
'사회사업 > 사회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는 사회사업가 입니다. 사회사업을 할 뿐입니다. (0) | 2010.03.09 |
---|---|
사례관리팀은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0) | 2010.02.09 |
사례관리의 과정은 (0) | 2010.02.03 |
사례관리를 하는 이유 (0) | 2010.02.03 |
양원석 선생님의 블로그에 꼬리말 달기.. (0) | 200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