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학생들과 공부하기

실습생 기관방문 질문지

by 사회사업가, 현환 2013. 6. 4.

춘의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습하는 김윤명 학생과 유보아 학생이 질문한 내용입니다. 

오늘 이 주제로 이야기 잘 나누었습니다. 

즐거웠어요. 


1. 지역조직화 사업이란 무엇인가? 

2. 지역주민을 조직을 강화하기 위한 숭의종합사회복지관의 방법은 무엇인가? 

3. 다른 기관과의 연계활동 및 네트워크 활동은 무엇인가? 

4. 실무자 모임을 실시했을 시 기대하는 효과와 결과는 무엇인가? 

5. 가장 기억에 남는 홍보사업은 무엇이며 어떤 방법을 활용하였는가? 

6. 홈페이지를 카페로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7. 자원봉사자를 모집 발굴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8. 인터넷 모금에서 지속적으로모금이 될 수 있는 컨텐츠는 무엇인가? 

9. 자원봉사학교의 실무봉사자의 기준과 프로그램 진행과정은 무엇인가?



지난달에 들은 김세진 선생의 강의와 어제 더함 학습조직에서 배운 내용이 

제가 조직사업 개념 정의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사회사업 근본인 사람과 사회부터 시작해서 

숭의종합사회복지관에서 정의한 사회사업의 개념 

사회사업 주안점, 

복지관 사회사업, 

지역복지사업, 

지역조직사업을 차례로 설명했습니다. 


모든 실천방법론은 인사하고,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고, 감사하기로 풀었습니다 

이로써 대부분의 일은 잘 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경험상 이렇게 하면 대부분 잘 되었습니다. 

오히려 묻지 않고 할 때 잘 안되는 경우가 더 많지요. 


네트워크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왜 소진될까? 어떻게 하면 소진되지 않을까?

내부의 에너지가 고갈되면 외부의 에너지를 들여와야 합니다. 

외부의 에너지를 들여오는 방법이 공부과 동료와의 만남입니다. 

네트워크 사업을 좋은 동료를 만나기 위함이며, 동료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오랫동안 열심으로 일하는 사회사업 동료 얻기 위함입니다. 


홍보에서는 홈페이지를 카페로 사용하는 유익에 대해서 이야기 했습니다. 

홈페이지가 기관의 이상과 적합한가를 놓고 이야기 했습니다. 

적합하지 않다면, 혹은 그런 기회비용이 너무 크나면 카페 쓰자고 이야기 했습니다. 

비용, 관리, 최신 기술의 업데이트 등을 비교했습니다. 

검색의 효과성을 비교했습니다. 


자원봉사자 발굴방법은 인사하고,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고, 감사하면 잘 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인터넷 모금은 글쓰기를 강조했습니다. 

사실적인 글이 아닌 이야기가 담긴 글이 있어야 한다 했습니다. 

사회사업가의 의도와 기관의 비전, 당사자의 삶과 지역사회 사람살이가 들어나야 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자원봉사학교는 실습생만 참여 가능하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더하여 기관의 실습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이야기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