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사회사업

사례관리는 결국 복합적이다.

by 사회사업가, 현환 2010. 3. 22.

연수 잘 다녀왔습니다.

생각나는데로 정리했습니다. 완성되지 못한 생각들입니다.

완성자체가 불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고쳐서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읽으시는 분은 참고바랍니다.


 

사례관리는 복합적인 성격을 이룬다.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핵심사업으로 둔다고 해도

결국은 각 팀의 각 사회복지사가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할 수 밖에 없다

 

팀의 구분을 사례관리팀, 서비스연계지원팀, 자원개발주민조직팀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해도 각 구성원(사회복지사)간의 협조체계는 필요하다.

다만, 집중적으로 하는 일이 나누어져 있을 뿐이다.

 

사례관리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은 대상자의 선정이다.

어떤 이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라는 방법론을 사용할 것인가?

 

사례관리가 사회사업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사업의 다양한 방법론 중에서 사례관리가 포함될 뿐이다.

조직론, 후원, 홍보, 연계, 상담 등등 많은 방법론이 존재한다.

 

이중 사례관리는 다양한 욕구(문제)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당사자 중심으로 돕고자 하는 방법론이다.

그렇다면 다양한 욕구(문제)란 무엇인가?

어떤 문제들이 보여질 때 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인가?

많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사회사업가, 지역사회복지관의 여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단 대상자에 대한 논의는 차후로 미루고

대상자의 선정기준이 정해지면 각 팀별 역할을 구별해야 한다.

 

그렇다면 사례관리팀은 무엇을 할 것이고,

서비스연계지원팀은 무엇을 할 것인가?

자원개발주민조직팀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사례관리는 한팀에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다.

사례관리라는 한 방법론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각 팀에서 사례관리를 진행해야 한다.

흔히, 연합사례회의를 떠올리면 좋겠다.

 

각 팀별로 사례관리의 한 부분을 담당하기 위해서 역할이 나누어져 있다.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 지체들이 함께 움직이듯 말이다.

 

사례관리팀이 모든 어려운 사람을 전담하여 도와드리는 것도 아니고

서비스연계지원팀이 단순히 어르신에게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도 아닙니다.

자원개발팀이 각종 자원이라 불리는 것들을 끌어와서 제공하는 것도 아닙니다.

 

사례관리팀은 좀더 어려운 대상자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서비스팀은 진행과정, 어르신의 역동, 지역사회의 변화내용을 공유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원개발주민조직팀은 지역사회가 공생성이 자랄 수 있도록 거름을 뿌린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역할들이 어우러져 사례관리라는 기반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핵심은 사례관리팀에서만 사례관리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각 모든 구성원들이 조금씩 기여를 통해서 사례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