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사회사업

사례관리 교육 2회차

by 사회사업가, 현환 2010. 3. 24.

 

사례관리라는 명목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가급적이면 걸언합니다.

일방적인 사례관리는 피합니다.

 

사례관리도 결국은 당사자의 선택이 필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하더라도 당사자가 싫다하면 할 수 없습니다.

 

일방적으로 기획, 준비하여 전달하거나 진행하기 보다는

함께 의논하고 준비하고 부족한 부분은 거들어 드립니다.

 

사회복지사, 사회복지기관이 당사자의 삶에서

무엇을 거들어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사례관리 양식지. 접수지에는 이것이 반영되어 있어야 합니다.

선정기준표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당사자가 특정 상황, 사안에 어떻게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무턱태고 '대상자' 만들 수 없습니다.

 

당사자의 삶에서 어떤 특정 상황, 사안이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당사자를 전적으로 대상자를 만들어서는 안됩니다.

 

접수지를 만들때도 이 점에서 파악해야 합니다.

지금이 상황이 어떻게 변하면 지금까지 처럼 자신의 삶을 자신이 살 수 있을지

물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월종합사회복지관의 자료를 활용해도 좋고

서울복지재단 기준표를 활용해도 좋습니다.

다음에 논의 할 것은.

팀별로 인테이크 시트 초안을 만들어 보기

 

스크리닝을 1차로 회의를 거쳐서 할 것인지

개인이 할 것인지 궁리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