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사회사업

[스크랩] 평가 - 어느쪽 평가를 두려워하는가?

by 사회사업가, 현환 2012. 8. 16.

2012년 8월 16일 (목)
신하 노릇 제대로 하기
비록 임금에게 잘 보였을지라도
백성에게 잘 보이지 못한다면
높은 지위와 많은 봉급은 가질 수 있으나
백성에게서 오는 원망은 면하지 못할 것이며,
비록 지금은 남에게 칭찬을 받을지라도
후세에 칭찬을 받지 못한다면
많은 공적은 세웠다 할지라도
뒷사람에게 비난을 받지 않을 수 없다.

雖得之君  不得之民  爵祿之豐則有之  不能不取怨於民矣
수득지군  부득지민  작록지풍즉유지  불능불취원어민의

雖譽於今  不譽於後  功業之多則有之  不能不取譏於後矣
수예어금  불예어후  공업지다즉유지  불능불취기어후의

- 이곡 (李穀, 1298~1351)
 <신설송이부령귀국(臣說送李府令歸國)>
《동문선(東文選)》제96권

 

  
  이곡 선생이 원(元)나라에서 벼슬하고 있을 때, 고려의 왕이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본국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윗글은 임금에 앞서 먼저 본국으로 떠나는 벗에게 신하의 도리를 일깨워주기 위해 쓴 글입니다. ‘신하 노릇 하는 것은 쉽지 않으니 조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爲臣不易 可不愼之哉]’ 라고 운을 떼면서 이어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말은 장황한 듯하나 요점은 매우 간단합니다. 무엇보다도 백성이 우선이라는 점, 그리고 후세의 평가를 두려워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다시 한 번 위의 번역문을 천천히 읽어 보도록 합니다.

  비록 임금에게 잘 보였을지라도 백성에게 잘 보이지 못한다면 높은 지위와 많은 봉급은 가질 수 있으나 백성에게서 오는 원망은 면하지 못할 것이며, 비록 지금은 남에게 칭찬을 받을지라도 후세에 칭찬을 받지 못한다면 많은 공적은 세웠다 할지라도 뒷사람에게 비난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임명권자에게 잘 보여 일시적으로 높은 자리에 오르고 부귀영화를 누릴 수는 있겠지만, 진정으로 그대가 훌륭한 신하가 되고자 한다면 임명권자의 의중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의 여망에 부응하여야 할 것이며, 화려한 볼거리와 숫자놀음으로 한때 국민들의 환심을 살 수는 있겠지만, 보다 긴 안목으로 바라보고 훗날의 결과를 생각하면서 신중하게 일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는 말씀. 더 이상 무슨 해설이 필요하겠습니까? 그저 윗사람 눈치나 살피고 당장 자신의 업적을 드러내 과장하기 좋아하는 우리나라 일부 정치인들이 이 글을 읽고 한 번쯤 더 생각해 볼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글쓴이 : 조경구(한국고전번역원)
  • 위의 메일 내용에 대하여 담당자에게 의견/소감/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여기를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메일링서비스는 본원 홈페이지 회원으로 가입하신 분과 회원께서 이 글을 함께 나누고자 추천하신 분께만 발송됩니다. [회원가입 바로가기]
  • 소중한 분에게 이 글을 추천하시려면 아래에서 항목을 작성하신 후 [추천하기]를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 고전포럼의 다른 글을 보시려면 [다른 글 보기]를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고전포럼을 개인 블로그 등에 전재하실 경우 반드시 출처 및 저자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본 메일링서비스의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110-011)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1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정보센터
Tel : 02-394-1149, Fax : 02-394-1118, E-mail : forum@itkc.or.kr

출처 : 사회복지정보원
글쓴이 : 한덕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