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복지요결 공부

사회사업 평가

by 사회사업가, 현환 2015. 10. 19.

사회사업 평가 읽고.


외부정합성 평가는 사회사업의 가치, 이상, 철학 같은 근본과 

기관의 정책이나 정체성에 들어맞는지 평가합니다. 


외부정합성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사회사업가가 보는 사회사업의 가치, 이상, 철학을 밝히고, 

자신은 어떻게 일했는지 기록하는 겁니다. 

사람과 사회는 어떠해야 하는지 밝히고 사회사업가의 생각(혹은 기관의 방향)을 밝히고, 

이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고, 어떤 변화를 보았는지 사회사업가의 안목으로 재해석 하는겁니다. 


기관의 중장기계획이 있다면 이를 평가의 기준으로 삼아도 좋겠습니다. 

중장기 계획에 맞춰 어떻게 진행했는지 살펴보는 겁니다. 

사업결과보고서에 이를 잘 기록하면 좋겠습니다. 

이런 기록이 많이 모이면 복지관의 나아가는 방향이 보일 겁니다. 


내부정합성은 목적과 목표를 평가하는 겁니다. 

사업의 원칙을 세웠다면 이를 잘 지켰는지 살펴보는 겁니다. 


정합성의 증거는 이야기 입니다. 

당사자의 삶, 지역사회 사람살이. 그 이야기가 있어야 합니다. 

당사자와 함께 한 삶을 보고 사회사업가가 그 과정을 기록하는 겁니다. 



실리평가는 사회사업가를 위한 평가입니다. 

사회사업가가 어떠했는지 평가하는 겁니다. 


사회사업가가 이 사업을 하면서 경험한 즐거웠던 일, 그리워지는 일, 아름다운 풍경 낭만 정취, 재미있는 일화 사진 동영상 따위를 나눕니다. 이렇게 즐겁고 아름다웠다고 이렇게 잘 누렸다고 사회사업가가 자랑하는 겁니다. 


자기 사업에서 잘된 사례를 나눕니다. 

자기가 했던 과정 중에서 잘 한 것을 기록하는 겁니다. 왜 그렇게 했는지, 그게 왜 잘 된 것인지 설명해 줍니다. 

동료들도 이런 과정을 잘 알 수 있도록 기록하는 겁니다. 


자신의 배움을 기록합니다. 


이번 사업에서 잘 발휘된 사회사업가의 강점을 기록합니다. 

이런 강점들이 다음에도잘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동료들이 자신의 강점을 알고, 이 강점이 잘 활용되도록 하는 겁니다. 

그래야 다른 활동, 다른 사업에 또 강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겁니다. 

더 나아가 동료와 기관, 복지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강점과 가능성까지 이야기 하면 더 좋습니다. 


이 사업을 하면서 느낀 사회사업가의 희망이나 구상을 이야기 합니다.